728x90
금속공학과의 진로 및 취업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학과 개요
- 영화 ‘아이언 맨’에서 주인공 토니 스타크는 강철로 제작된 아이언맨 슈트를 입고 적들의 무차별한 공격에도 쉽게 상처를 입지 않습니다. ‘아이언 맨’의 겉옷은 어떤 재료로 만들었을지 궁금하지 않나요? 금속공학과는 금속재료의 성질에 대한 이해, 금속의 사용 방법, 금속 신소재를 이용한 개발 등에 대해서 배우는 곳입니다. 금속공학과는 금속 재료를 개발하고, 여러 산업에서 사용되는 금속과 재료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보완시킬 수 있는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학과입니다.
학과 특성
- 재료공학은 금속재료, 세라믹 재료, 고분자 재료 등의 재료 전반에 대해 다루는데 이중 금속재료를 위주로 배우는 학과가 금속공학과라 할 수 있습니다. 금속공학과는 다양한 금속 재료들의 성질을 이해하고 조합하여 새로운 금속 소재를 개발하는 이론을 배우고 연구합니다. 최근에는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금속 재료의 개발, 꿈의 탄소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의 개발 등 앞으로도 금속공학과의 전망은 밝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흥미와 적성
- 평소 흔히 볼 수 있는 각종 사물의 재료에 대해 호기심과 관심이 많은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사물을 이루는 재료들에 대해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능력과 수학, 화학, 물리 등 이공계 기초 과목을 잘하는 사람에게 유리합니다.
관련 고교 교과목
- 공통과목
- 수학, 과학, 기술ㆍ가정
- 일반선택과목
- 수학 교과 : 수학Ⅰㆍ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과학 교과 : 물리학Ⅰ, 화학Ⅰ
기술ㆍ가정교과 : 기술ㆍ가정, 정보
- 수학 교과 : 수학ⅠㆍⅡ, 미적분, 확률과 통계
- 진로선택과목
- 기하, 물리학Ⅱ, 화학Ⅱ, 공학 일반
- 전문교과Ⅰ
- 심화수학ⅠㆍⅡ, 고급 수학ⅠㆍⅡ, 고급 물리학, 물리학 실험, 고급 화학, 화학 실험, 정보 과학, 융합과학탐구, 과학 과제연구
- 전문교과Ⅱ
- 공업 일반, 기계 제도, 기계 일반, 기계 제어 설계
진로 탐색 활동
동영상 시청 - 금속재료, 금속분야 동영상 시청을 통해 기계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높일 수 있습니다.
박람회 참여 - 한국금속 대전 등 금속 분야 박람회 참여를 통해 최신 정보와 관련 지식을 쌓을 수 있습니다.
제철소 견학 - 제철소(포항, 광양) 견학 프로그램 참여를 통해 금속 재료 제품의 생산과정 전반에 대한 이해와 지식을 얻을 수 있습니다.
대학 주요 교과목
- 금속가공학
- 금속 소성가공의 기초이론, 금속의 항복조건의 응용과 변형률 관계, 가공 결함과 잔류 응력, 각종 소성 가공법 등에 대해 배웁니다.
- 금속 전기화학
- 금속의 전극 전위, 전극의 분극 현상, 음극 석출과 양극 용해, 금속의 부식과 방식, 금속표면처리, 금속의 전해 추출 및 전해정련에 대해 배웁니다.
- 제련 공학 원리
- 광석의 예비처리, 건식 및 습식제련의 개요, 제련 반응의 열역학 등 금속 제련의 개념과 기초 지식을 배웁니다.
- 금속 열역학
- 열역학 법칙, 상평형, 용액의 거동, 자유에너지 및 상태도, 평형 및 반응 이론 등에 대한 강의를 통하여 화학 야금학 및 다성분계의 제반 열역학적 현상에 대한 이론적 해석기법을 배웁니다.
- 금속 물리 화학
- 열역학 법칙을 사용하여 물질의 상태변화, 화학반응에 있어서 물질과 열 및 에너지의 수지 그리고 화학평형, 반응의 방향 등에 관한 이론적 내용과 화학 열역학, 전기화학 등의 기초와 응용에 관하여 배웁니다.
관련 자격
- 금속가공 기술사, 금속기사, 금속재료 기사, 금속재료 기술사, 금속제련 기술사, 주조기능장, 주조산업기사
관련 직업
- 금속가공장치 조작원 , 금속공학기술자 , 금속재료공학 시험원, 단조원 , 도금원 , 압연원 , 재료공학기술자 , 제관원 , 주조원 , 판금원 , 항공우주공학자
졸업 후 진출 분야
- 기업 및 산업체
- 금속 분야 대기업 및 화학, 신소재 관련 개발 회사 등
- 학계 및 연구기관
- 한국 화학연구원, 한국 생산기술연구원, 재료연구소 등 금속 관련 공공 및 민간 연구기관
- 정부 및 공공기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기술직(금속직) 공무원, 한국 광물자원공사 등 공공기관
세부 관련학과
- 금속공학과, 금속공학 전공, 금속소재공학 전공, 금형 신소재공학과, 나노・신소재 공학부(금속재료공학 전공), 보석 귀금속학과, 보석 귀금속학과(공학), 신소재 공학부 금속 시스템공학 전공, 용접. 접합 과학 공학과, 재료공학부 금속공학 전공, 재료 융합공학부 재료금속공학 전공
국내 공학 관련 대학 순위
QS 세계 대학 랭킹 사이트를 참고해서 작성했습니다. 국내 공학 관련 대학 순위 1등은 카이스트가 차지했고 2위는 서울대학교, 3위는 성균관대학교가 차지했습니다. 4위부터는 포스텍, 고려대, 한양대, 연세대, 경희대, 중앙대, 인하대, 부산대, 서강대, 경북대, 전남대, 충남대, 전북대, 건국대, 서울시립대, 영남대 순입니다.
세계 랭킹 | 대학교 |
23 | 카이스트 |
29 | 서울대학교 |
43 | 성균관대학교 |
54 | 포스텍 |
60 | 고려대학교 |
70 | 한양대학교 |
74 | 연세대학교 |
151-200 | 경희대학교 |
251-300 | 중앙대학교 |
251-300 | 인하대학교 |
251-300 | 부산대학교 |
251-300 | 서강대학교 |
301-350 | 경북대학교 |
351-400 | 전남대학교 |
351-400 | 충남대학교 |
351-400 | 전북대학교 |
351-400 | 건국대학교 |
351-400 |
서울시립대학교
|
351-400 | 영남대학교 |
금속공학과 개설 대학
부산광역시 | 동의대학교 | 금속소재공학전공 |
부산광역시 | 부경대학교 | 금속공학과 |
부산광역시 | 신라대학교 | 금속공학전공 |
인천광역시 | 인하대학교 | 금속공학전공 |
광주광역시 | 조선대학교 | 용접.접합과학공학과 |
강원도 | 강원대학교(삼척캠퍼스) | 재료융합공학부 재료금속공학전공 |
전라북도 | 전북대학교 | 신소재공학부 금속시스템공학전공 |
전라남도 | 동신대학교 | 보석귀금속학과(공학) |
전라남도 | 동신대학교 | 보석귀금속학과 |
경상북도 | 동양대학교 | 보석귀금속학과 |
경상북도 | 안동대학교 | 금속공학전공 |
경상남도 | 경상국립대학교 | 나노・신소재공학부(금속재료공학전공) |
경상남도 | 인제대학교 | 금형신소재공학과 |
세종특별자치시 |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세종캠퍼스) | 재료공학부 금속공학전공 |
'학과 > 공학계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계공학과 - 진로 및 취업 (+대학 순위) (0) | 2022.03.31 |
---|---|
금형설계과 - 진로 및 취업 (+대학 순위) (0) | 2022.03.31 |
국방기술학과 - 진로 및 취업 (+대학 순위) (0) | 2022.03.31 |
교통공학과 - 진로 및 취업 (+대학 순위) (0) | 2022.03.31 |
교양공학부 - 진로 및 취업 (+대학 순위) (0) | 2022.03.31 |
댓글